사업시행자 지정되기 위한
주민동의율 75% 이상 확보
 |
서울 동작구 사당동 남성역 역세권활성화 재개발정비사업 조감도. [사진출처=한국토지신탁] |
한국토지신탁이 서울 동작구 ‘남성역 역세권 활성화 재개발 사업’의 사업시행자로 지정되는 데 청신호가 켜졌다.
14일
한국토지신탁은 남성역 역세권 활성화 재개발 사업의 사업시행자로 지정되기 위한 주민 동의율 75%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동작구청이 지정 고시하는 행정절차만 거치면
한국토지신탁이 공식적인 사업시행자 지위를 갖게 된다.
이달 안으로 지정 받는 게 목표다.
이 사업은 동작구 사당동 252-12 일대에서 추진된다.
‘골드라인’으로 통하는 지하철 7호선 남성역 역세권 일대다.
서울시가 지난 1월 이곳을 정비구역으로 지정하고 정비계획도 고시했다.
정비계획에 따르면 대상지는 재개발을 통해 용도지역이 오른다.
기존 제2·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과 근린상업지역으로 용도가 두 단계씩 상향됐다.
지하 6층~지상 37층 높이의 공동주택 519가구와 오피스텔 54실, 근린상가, 문화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앞으로 공동주택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가 최근 상업·준주거지역 안에 비주거시설 비율을 폐지 또는 완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내세운 규제 철폐 정책의 일환이다.
종상향을 통해 준주거지역과 근린상업지역이 된 남성역 역세권 활성화 사업이 관련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토지신탁은 기존에 계획된 수익성 낮은 2~3층 상가 비율이 줄어들고 공동주택이 약 60가구 더 공급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상가 공실이 사회적 문제인 상황에서 위험 부담은 줄이고 재개발 사업성은 높이게 되는 셈이다.
한국토지신탁 측은 “해당 현장은 토지 등 소유자의 개발 의지가 높은 곳”이라며 “이후 신속한 인허가 획득과 이해관계자 간 조율 등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