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이 1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을 반격하고 있는 접경지 쿠르스크 전투사령부에 군복을 입고 방문해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있다.
타스연합뉴스 |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30일간 휴전' 압박에 대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대답은 군복이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종전협상에서 카드로 활용하기 위해 진격한 러시아 접경지 쿠르스크주에 푸틴 대통령이 군복을 입고 회의를 열었다.
푸틴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쿠르스크 러시아군 전투사령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크라이나군에 점령된 쿠르스크 영토를 완전히 해방하라고 명령했다고 타스통신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쟁을 멈추기 위한 협상에 나선 가운데 러시아군은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고자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은 "쿠르스크에 있는 우크라이나군이 포위되고 고립됐으며 이들에 대한 조직적인 파괴가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러시아
서남부에 위치한 접경지 쿠르스크는 지난해 8월 기습 공격에 나선 우크라이나군이 일부 영토를 점령했다.
전황이 유리한 상황에서 그동안 푸틴 대통령은 일시 휴전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러시아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마냥 무시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에서 대규모로 승리하길 원하는 푸틴 대통령의 욕망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욕구 사이 긴장이 올라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분석했다.
일리야 그라슈첸코프 정치 분석가는 NYT에 "크렘린궁이 전술적으로 보면 불리하지만 정치적으로는 유리한 휴전을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스티븐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가 13일 러시아 모스크바에 도착해 우크라이나 휴전안을 논의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특사 파견은 30일 휴전안에 대해 미국이 러시아에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