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비트코인 추가 비축방안 찾을 것”…스테이블코인으로 달러 기축통화 강화 ‘속도’

백악관 디지털 자산 서밋 연설서
“납세자 비용 들지 않는 방안 모색”
달러자산과 연동한 스테이블코인
규제 불확실성 해소법안 통과도 주문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진행된 ‘디지털 자산 서밋’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납세자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을 전제로 비트코인을 추가로 비축할 수 있는 경로를 찾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가상자산의 일종인 ‘스테이블 코인’을 달러화의 기축통화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기 위해 규제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법안 통과를 주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진행된 ‘디지털 자산 서밋’에서 “재무부·상무부는 납세자에게 비용이 전가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에 추가로 비축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를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6일 서명한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행정명령에 따라 연방정부가 범죄·민사 몰수 절차로 확보한 비트코인 약 20만개를 전략적 비축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새로운 방안을 찾아 추가적인 비축에 나서겠다고 시사한 셈이다.


그는 “행정명령은 연방 정부가 각 정부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가상자산 목록을 조사하고, 이를 재무부로 쉽게 이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지시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이 아닌 디지털 자산도 적절하게 관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지난해 나는 미국을 세계의 비트코인 초강대국이자 지구의 가상자산 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고, 그 약속을 지키기 위해 역사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면서 자신이 전날 서명한 비트코인 전략비축 행정명령은 ‘디지털 금’을 보관하는 가상의 ‘포트 녹스(미국 켄터키주의 군사기지이자 미 재무부의 금 보유고)’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스테이블코인을 미 달러화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구상도 내비쳤다.

그는 “달러를 담보로 한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 시장에 규제 확실성을 제공하기 위한 법안을 작업하는 의원들의 노력에 내 강력한 지지를 표명하고 싶다”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하지 않도록 미 달러와 같은 법정 화폐와 일정한 교환 가치를 지니도록 설계됐다.

가치 유지를 위해 담보를 두게 되는데, 스테이블코인의 상당 부분은 미 국채를 담보로 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늘어나면 미 국채 등 달러 수요가 늘어나 달러화의 지위가 강화될 수 있고, 미국 정부가 부담해야 할 장기 금리도 하락할 수 있다.


그는 이어 해당 법안을 “우리 금융 분야 경제 성장과 혁신을 위한 엄청난 기회”라고 강조하며 의회가 오는 8월에 휴회하기 전에 법안을 통과시켜 자신이 서명하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스콧 베센트 장관도 이날 서밋에서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시했듯 미국(달러)이 계속해서 세계의 지배적인 기축통화가 되도록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재무부는 작년 10월 1200억달러 상당의 미 국채가 스테이블코인 담보로 사용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한국이 보유한 미 국채 금액과 비슷한 규모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히는 빌 해거티 연방 상원의원(공화·테네시) 등이 발의했다.

스테이블코인의 법정 정의, 발행 절차 등을 규정해 스테이블코인 사용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규제 틀을 마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불분명한 규제를 명확히 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