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착륙 중 넘어진 뒤 임무 종료”…美 민간 탐사선 ‘아테나’ 가동 중단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아테나’가 누운채 착륙해있는 모습. [AFP = 연합뉴스]
미국 민간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무인 달 탐사선이 달 착륙 과정에서 넘어진 뒤 일어나지 못하고 결국 그대로 임무를 마쳤다.


7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무인 달 탐사선 ‘아테나’(노바-C)의 가동 중단을 선언했다.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이날 “태양태양 전지판의 방향, 분화구 내 극도로 낮은 기온으로 인해 아테나가 재충전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임무는 종료됐으며 관련 팀이 임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계속 평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지난달 26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아테나는 미 동부시간으로 전날 낮 12시 31분으로 달 남극에서 약 160㎞ 떨어진 고원 ‘몬스 무턴’(Mons Mouton) 지역에 착륙을 시도했다.


달 표면을 향한 아테나의 하강 과정은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처럼 보였지만 달에 착륙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점 이후 아테나의 데이터 전송이 한동안 끊겼다.


약 20분 뒤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아테나는 달 표면에 있다.

우리는 기체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으나 이후 아테나가 표면에 똑바르게 직립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테나가 결국 일어나지 못하고 그대로 가동이 중단되면서,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작년에 발사한 무인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와 마찬가지로 임무를 종료하게 됐다.


작년 2월 발사된 오디세우스는 달에 착륙할 때 기체의 한쪽 발이 표면의 돌출된 부분에 걸려 넘어지면서 측면으로 누워 있는 상태로 추정됐다.


이후 전력 문제로 인해 교신하지 못한 채 영구적으로 작동을 멈췄다.


전문가들은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착륙선이 무게 중심이 높아 작은 충격에도 넘어지기 쉬운 구조라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아테나는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미 항공우주국(NASA)과 계약해 수행한 달 착륙 임무 중 두 번째로,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 프로그램의 하나로 이뤄졌다.


NASA는 달 탐사선을 직접 개발하기보다 민간 업체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개발하는 방식이 더 저렴하고 빠르게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2018년부터 CLPS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