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대 에서 더 높아져
일손 부족 및 인재 확보 쟁탈전에
대기업들 속속 노조 요구 그대로 수용
 |
일본 도쿄역 [사진 = EPA 연합뉴스] |
일본 최대 노동조합인 렌고(連合·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산하 노조들이 올해 임금협상에서 6%대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임금 인상률이 6%를 넘는 건 1993년 이후 32년 만에 처음이다.
사측이 노조의 인상 요구액을 그대로 수용하는 결정이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일손 부족과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경쟁 심화가 임금 인상 추세의 주 요인으로 분석된다.
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렌고는 올해 봄철 임금협상인 춘투에서 요구한 임금 인상률을 집계한 결과 평균 6.09%(3월 3일 기준)였다고 밝혔다.
전년보다 0.24%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평균 임금 인상액은 전년 대비 1638엔 늘어난 1만9244엔이었다.
다이이치생명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기업들이 인력 확보를 위해 임금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인상률이) 작년 수준을 웃돌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춘투에서 대기업 노조 중심으로 구성된 렌고 산하 노조의 평균 임금 인상률은 5.10%였다.
최근 제국데이터뱅크 조사에서도 올해 회계연도에 임금 인상을 계획 중인 기업의 비율은 61.9%로 지난해보다 2.2% 늘며 2007년 이후 가장 높았다.
기본급을 인상하려는 비율도 56.1%로 전년 대비 2.5%포인트 늘었다.
기업들이 임금을 올리려는 가장 큰 이유로는 ‘노동력 확보’라는 응답이 75%로 가장 많았다.
오는 12일은 자동차 회사 등 일본 주요 대기업이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에 답을 내놓는 이른바 ‘집중 회답일’이어서 실제 인상률이 얼마나 될지는 조만간 판가름날 전망이다.
다만 중소기업들의 경우 대기업들에 비해 인건비 부담이 훨씬 커 임금을 인상하기가 녹록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동분배율(기업 수익 중 인건비 비율)이 자본금 1억엔 미만의 중소기업은 70%로, 자본금 10억엔 이상의 대기업(37%)의 2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닛케이는 “중소기업들의 임금 인상 여부는 인건비 등의 비용을 대기업과의 거래가격에 전가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짚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