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중국 공안 연계 해커 무더기 기소
“한국 외교부도 해킹 피해”

중국 해커. [사진 = 연합뉴스]
미국 사법당국이 중국 공안과 협력해 자국과 타국의 정부 기관을 무차별 해킹해온 중국 해커들을 대거 기소했다.

특히 한국 외교부도 해킹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5일(현지시간) 미 법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중국 정보기술 회사 ‘아이순’ 소속 직원 8명을 불법 사이버 활동 혐의로 기소했다고 밝혔다.


법무부에 따르면 중국 국가안전부(MSS)와 공안부(MPS)는 중국 내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구축된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해킹 활동을 벌이고 있다.

중국 정부의 개입 흔적을 최대한 지우면서 민간의 해킹 역량을 빌리는 식이다.

아이순도 공안의 네트워크에 활용된 회사 중 하나다.

법무부는 “악의적 사이버 활동을 펼친 이들은 MSS와 MPS의 지시에 따르거나 자체적으로 해킹을 감행했다”고 설명했다.


뉴욕 연방법원이 공개한 공소장에 따르면 아이순은 최소 2016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 종교 단체, 언론인, 연방 정부 기관, 주 의회와 아시아 국가의 외교당국 등을 대상으로 이메일 계정과 휴대전화, 서버, 웹사이트를 해킹해 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했다.

이렇게 확보한 정보를 MSS나 MPS에 판매했다.

가령 해킹한 이메일 수신함 1곳당 최대 7만5000달러(약 1억원)의 대금을 청구하는 식이다.


한국 외교부도 아이순의 해킹 표적 중 1곳으로 지목됐다.


공소장에 따르면 아이순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지낸 전직 직원은 2022년 11~12월 한국 외교부의 여러 이메일 수신함의 내용에 접근할 권한을 MSS에 판매하려고 시도했다.


아울러 미 법무부는 아이순에 특정 표적을 해킹하라고 지시한 혐의 등으로 MPS 직원 2명도 기소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