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콕 집어 압박한 트럼프…“양국관계 공평하지 않다” 주장

트럼프 “韓관세, 美보다 4배 높아
알래스카 사업 수조弗 투자할 것”

한국 기업 보조금 수혜 거론하며
“반도체과학법 폐지해야” 발언도

미 의회 연설하는 트럼프 대통령 [EPA = 연합뉴스]
한국이 미국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가 미국이 한국 상품에 물리는 관세보다 4배 이상 높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파이프라인 사업에 한국·일본 등이 파트너가 되고 싶어한다며 이들 국가가 ‘각각’ 수조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관세율은 근거가 확실하지 않아 한국을 압박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내놓은 발언으로 분석된다.

알래스카 LNG 사업 투자 역시 한국의 대미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일부러 과장된 수치를 제시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의사당에서 열린 취임 후 첫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상대국이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도 관세를 부과한다는 ‘상호 관세’에 대해 강조하면서 한국을 언급했다.

그는 “수많은 나라가 우리(미국)에게 부과하는 관세율이 우리가 그들에게 부과하는 관세율보다 훨씬 더 높다”며 “한국은 평균 관세율이 4배나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한국에 군사적으로, 그리고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많은 도움을 주고 있지만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결코 공평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는 알래스카에 세계 최대 규모의 LNG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며 “일본, 한국, 그리고 여러 나라들이 각각 수조 달러씩 투자하면서 우리의 파트너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

이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정말 대단한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 TSMC의 투자를 자랑하는 과정에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이 보조금 수혜를 입었다고 거론하며 보조금의 근거가 된 반도체과학법(CHIPS Act)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우리 돈을 가져가서 의미 있게 쓰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