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 뉴욕포스트 갈무리] |
미국의 아시아계 청년이 자신에게 불합격을 통보한 명문대학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 거주하는 스탠리 종(19·남)의 사연을 보도했다.
스탠리는 미성년자일 때 구글에서 스카우트할 정도의 천재였지만 대입 과정에서 인종차별을 받았다며 소송전을 시작하게 됐다.
스탠리는 SAT에서 159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2000명 중 한 명이다.
미국의 수학능력시험으로 불리는 SAT에는 해마다 200만명이 넘는 학생이 응시한다.
스탠리의 고등학교 성적도 4.0만점에 4.42였다.
학업적 성취도만 높은 것은 아니었다.
공학을 전공할 계획이었던 스탠리는 고등학생 시절 전자 문서 서명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을 창업했고, 고등학교 졸업을 하기도 전에 구글로부터 박사 수준의 직무 제안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스탠리는 메사추세츠공대(
MIT),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캘리포니아공대, 스탠퍼드대, UC버클리대 등 16개 대학에 지원했으나 대부분 불합격했다.
스탠리를 받아준 대학은 텍사스대 오스틴 캠퍼스와 메릴랜드대뿐이었다.
이 소식에 스탠리는 물론 부모도 충격을 받았다.
스탠리의 아버지는 “아시아계 학생들이 대학 입시에서 더 높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말을 들은 적은 있지만, 그저 소문이라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불합격이 계속되자 놀란 마음이 좌절감으로 변했고, 결국 분노로 바뀌었다”라고 토로했다.
스탠리의 아버지는 스탠리가 인종차별을 당한 것이라고 확신하며 불합격 통지서를 보낸 대학들을 상대로 법적 대응을 결정했다.
스탠리는 징벌적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동시에 법원이 정당하고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구제 조치도 요청하고 있다.
한편 스탠리는 현재 구글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 중이다.
구글은 “스탠리가 13살이었을 때부터 그의 코딩 실력을 눈여겨봤다”며 “당시 스탠리의 작업이 너무 뛰어나 성인이 아닐까 의심했을 정도”라고 극찬한 바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