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광물협정 중단 아냐”
SNS서 유럽 ‘내로남불’ 비판
英, 방산기업의 美 매각 반대
호주 “우크라 파병 열려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군사원조 전면 중단 카드를 꺼내 들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최대 압박에 들어갔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J D 밴스 부통령을 상대로 공개 설전을 벌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대한 강경 대응으로 풀이된다.
3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익명의 미국 국방부 고위 당국자는 우크라이나 지도자들이 ‘평화를 위한 성실한 약속(a good-faith commitment to peace)’을 입증했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할 때까지 미국이 현재 제공 중인 모든 군사원조를 멈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군사 지원 중단을 명령했고, 여기에는 지원을 위해 이동 중인 무기와 군용 장비가 모두 포함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다른 익명의 백악관 당국자는 AFP통신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조치를 확인했다.
이번 군사원조 중단과 관련해 AFP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압박하기 위한 제재라고 해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젤렌스키는 러시아와의 전쟁 종식이 매우 멀다고 말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공유하면서 “이것은 젤렌스키 최악의 발언이며, 미국은 이를 더 참지 않을 것”이라며 “이 사람은 미국의 지원이 있는 한 평화가 있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평화를 위한 성실한 약속’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구체적으로 전해지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는 폭스뉴스에 “이번 군사 지원 중단은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일시적”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백악관 집무실에서 펼쳐진 문제의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이 합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빠질 것”이라며 “우리가 빠지면 당신은 (홀로) 끝까지 싸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에도 군사 지원 중단 가능성을 시사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압박은 결국 광물협정 체결을 강요하기 위한 수순으로 보인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취재진의 ‘우크라이나 광물협정은 중단됐나’라는 질의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것은 우리에게 매우 훌륭한 거래”라고 답했다.
그는 또 ‘협상 재개를 위해 젤렌스키 대통령과 만날 필요성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젤렌스키가 더 미국에 감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미국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항상 그들과 함께했다”고 말했다.
CNN은 당국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과 그 고위 참모는 공개 사과의 형식 등을 통해 젤렌스키 대통령이 상황을 인정하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한 소식통은 CNN에 “원조 중단 결정은 이날 늦게 내려진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압박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자극한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되는 밴스 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가장 좋은 안전 보장은 우크라이나의 미래에 미국의 경제적 이익이 달려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라고 말했다.
광물협정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트루스소셜에 “유럽은 우크라이나 방어보다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 구매에 훨씬 더 많은 돈을 지출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젤렌스키 대통령과 충격적인 언쟁 이후 자신을 비판하는 유럽 국가들은 겨냥한 발언이다.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연합(EU)은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 수입에 219억유로를 지불했지만 같은 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재정 지원은 187억유로에 불과했다.
대서양 동맹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가운데 영국 정부가 자국 방산기업의 미국 매각에 반대하는 태도를 보였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이날 총리 관저에서 열린 행사에서 자국 방산기업 켐링이 미국 사모펀드에 매각될 수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 “영국 기업으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미국 사모펀드 베인캐피털이 켐링에 인수를 제안했으며 11억파운드를 제시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유럽 정상들 사이에 우크라이나 안보를 위한 평화유지군 조성 움직임이 있는 가운데 호주 정부도 동참 의지를 밝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4일 “아직 우크라이나 파병 요청을 받지 않았다”면서도 “요청이 들어오면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