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 책임을 이유로 그동안 러시아에 가했던 제재를 완화하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


미·러 주도로 종전협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러시아 측이 반길 '당근책'을 제시해 조속히 전쟁을 끝내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백악관이 완화 가능한 대러 제재 초안을 지난주 국무부와 재무부에 마련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국무부와 재무부는 현재 러시아의 올리가르히(러시아 정부와 유착한 신흥 재벌)를 포함한 일부 기업·단체·개인에 대한 제재 해제안을 작성 중이다.


미국이 러시아에 가한 일부 제재를 해제하는 대가로 러시아에 어떤 요구를 할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백악관 차원에서 제재 완화를 추진하는 점을 감안하면 미·러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종전협상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백악관의 요청은 러시아와 거래의 일환으로 제재를 완화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라고 전했다.


특히 대러 제재 중에서도 에너지 부문에서 완화된다면 미국으로서는 러시아에 특정 사안을 요구할 명분이 생긴다.

미국은 러시아 에너지 기업과 원유 수송업체도 제재 목록에 올려 러시아의 전쟁 자금줄을 차단하는 데 주력했다.

미국이 이를 완화하면 러시아는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지렛대 삼아 미국이 종전협상 테이블에서 러시아 측에 양보를 요구할 수 있는 셈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지난달 20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향후 협상에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경제적 구제를 받을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러시아 외무부는 이날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을 비롯한 일본인 9명에 대해 무기한 입국금지 조치를 내렸다.

일본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날 때까지 대러 제재를 해제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데 따른 보복 차원으로 분석된다.

러시아 외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일본이 우리에 대해 진행하고 있는 제재 정책에 대응해 특정 개인들의 러시아 연방 입국을 금지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