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MBA 취업 못한 비율
2022년 5%→2024년 15%
 |
하버드대 경영전문대학원 졸업식. EPA 연합뉴스 |
미국 최고의 경영학석사(MBA) 학위를 취득해도 취직이 안되는 졸업생이 최근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MBA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가운데, 최근 기업들의 고용 트렌드가 다양한 배경의 취업자를 뽑기 때문이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근 몇년 간 미국 톱 MBA 취업률이 갈수록 줄어들었다.
메사추세츠공과대(
MIT)의 경영대학원(슬론)의 경우 졸업 후 3개월 간 아무런 직업을 구하지 못한 비율이 지난 2022년 3.4%를 기록한 후 2023년 9.8%에 이어 2024년 14.9%로 크게 뛰었다.
다른 명문대 MBA도 사정은 비슷하다.
하버드대 MBA 졸업생 중 졸업 3개월 내 취업 못하는 비율은 2022년 5%, 2023년 14%, 2024년 15% 등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시카고대 경영대학원(부스), 콜롬비아 경영대학원, 스탠포드 경영대학원도 마찬가지다.
명문대 MBA 중 가장 성과가 좋은 펜실베니아대 경영대학원(와튼)도 같은 기간 졸업 3개월 후 취업 못한 비율이 2022년 1.3%, 2023년 2.8%, 2024년 6.9% 등으로 꾸준히 늘었다.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관계자는 “MBA 출신 학생들이 일부 부문에서 기복이 심한 수요에 직면했다”면서 “그러나 2026년 졸업생에 대한 기업들의 수요는 견실하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MBA가 학비 15만달러 이상을 투자해서 동문 네트워크를 통해 고연봉의 자리를 차지하던 시대가 멀어졌다”면서 “MBA에 대한 투자수익률이 더 이상 주어진 것이 아니다”고 전했다.
그 배경으로는 화이트칼러 부문의 일자리 성장률이 둔화되고 민간 부문의 임금 상승률 역시 둔화되는 가운데 MBA가 예전과 같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