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2000억...이마트 ‘통상임금 제외’ 영업이익 발표한 이유

대법원, 12월 통상임금 범위 확대 판결
회계상 퇴직충당부채 쌓으며 이익 감소
통상임금 영향 제외 영업이익 2603억

이마트가 2024년 연간 실적을 공개했다.

전년보다 매출이 소폭 감소하긴 했지만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나쁘지 않은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눈에 띄는 점은 ‘통상임금 판결 영향을 제외한 영업이익’을 따로 공개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이마트 연결 기준 연간 영업이익은 471억원이다.

하지만 통상임금 영향을 제외한 ‘실질 영업이익’은 2603억원이라고 밝혔다.

통상임금 판결에 따라 인식한 비용이 2128억원에 달한다는 얘기다.


이마트 본사 전경. (이마트 제공)
대법원이 지난해 12월 판결한 통상임금 범위 확대가 발목을 잡았다.

대법원은 “명절이나 정기 상여금에 ‘지급일 기준 재직자에게만 준다’ 같은 조건이 붙어도 모두 통상임금으로 봐야 한다”고 판결했다.

기존에는 이런 조건 없이 지급되는 상여금만 통상임금으로 인정했다.

통상임금은 각종 수당과 퇴직금을 계산하는 기준이 된다.

통상임금 범위가 넓어지면서 기업 입장에선 인건비 부담이 커진 것이다.


이마트뿐 아니다.

롯데, 신세계, 현대백화점 등 국내 유통 기업 역시 올해 4분기 실적에 회계상 퇴직충당부채와 희망퇴직보상금을 한꺼번에 반영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낮아졌다.

이마트 영업이익 감소 영향이 더 큰 이유는 퇴직충당부채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떠안았기 때문이다.

기업 구조상 고용 인력이 많고 장기 근속자 비율이 높은 탓이다.

대형마트 업태 특성도 한몫한다.

긴 영업시간과 휴일 영업으로 초과근로수당과 휴일수당 비중이 높다.

2023년 기준 이마트 종업원 수는 2만2744명으로 국내 기업 10위권 수준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는 통상임금 판결로 인한 회계상 대규모 비용 등이 일시 반영되며 표면상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를 제외할 경우 영업 성과 개선이 뚜렷해 사실상 흑자를 기록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가격 리더십과 본업 경쟁력을 높여 좋은 분위기를 이어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