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화면.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환경부도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을 차단하고 나섰다.
보안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는 딥시크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6일 환경부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인터넷에 연결된 PC에서 딥시크를 접속할 수 없도록 차단했다.
오픈AI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 접속은 막지 않았다.
환경부 관계자는 “딥시크는 개인정보 수집 체계가 아직 명확히 알려지지 않아 정보당국도 사용에 신중하라고 당부했다”면서 “딥시크 측이 공개한 자료를 봐도 정보 수집 체계가 챗GPT 등과 다른 것으로 파악돼 정보 유출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접속을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챗GPT는 정보당국에서 마련한 생성형 AI 활용 수칙에 따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기에 접속을 차단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지난 4일 행정안전부가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고 요청한 뒤 접속을 차단하는 부처가 늘고 있다.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기획재정부는 이날 차단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면서 안보·경제부처를 넘어 사회부처까지 딥시크 차단 조처가 확산하는 모양새다.
환경부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면서 산하 기관·공기업도 같은 조처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 주요 기반시설 중 하나인 댐 운영을 담당하는 한국수자원공사도 이날 중 딥시크 접속을 차단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