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산업 강국, 함께 하는 제조혁신 ◆

지방 공동화를 막는 핵심 방안으로도 스마트공장 전환이 대두됐다.

스마트공장으로 지역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매경·삼성 공동 캠페인 '스마트 산업강국, 함께하는 제조혁신' 자문위원단과 후원기관들은 비수도권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을 우선 지원하고 지역별 특화 산업 기업을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은 "지역 특화 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별도 스마트공장 지원 트랙을 신설하고 먼저 지원하는 것도 방법"이라며 "지방 강소기업 성장을 통해 지방 소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수한 스마트공장 기술을 보유한 지방 강소기업과 처음으로 신기술을 도입하는 수요기업을 연결해 컨설팅하는 프로그램이 바람직하다"며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기업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뿐 아니라 다른 기업의 참여를 끌어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태선 민주당 의원은 "스마트공장은 지방 강소기업의 성장을 가속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며 충남 아산의 에이스라이프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이 지역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매출이 8배 증가한 건 지방 정부가 초기 비용 부담을 줄여주고 지역 대학·연구소와 연계한 결과"라며 "대기업과의 상생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도 필수적"이라고 부연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선 정부와 지자체가 스마트공장 매칭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설명했다.

김성섭 중기부 차관은 "중기부는 17개 지자체와 21개 지역 특화 프로젝트를 함께 육성하는 프로젝트를 출범했다"며 "아울러 정부와 지자체가 스마트공장 매칭을 지원하는 협업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춘성 연세대 교수는 "현장 실무 경험이 많은 지방 대학의 인력을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라며 "필요시 대기업 전문 인력이 실무 재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중소기업들은 삼성전자와 추진하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에 대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작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에 참여한 195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참여 중소기업 중 93.6%가 만족한다고 대답했다.


[박소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