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국때 대통령 명령 필요한데
‘내란혐의’ 尹, 인사권 논란에
이임 절차 차질···무산 관측도
|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7월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재호 주중 한국대사에게 신임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한 모습. <매경DB> |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주중 대사의 교체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10일 외교가에 따르면, 주중대사관은 이날 오후로 예정된 정재호 주중 대사의 이임식 행사를 지난 4일 취소했다.
애초 정 대사는 이임식을 마친 뒤 이달 중순 귀국해 서울대 교수직으로 복귀할 예정이었다.
앞서 김대기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지난 10월 차기 주중대사로 내정됐다.
그러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임명권자인 윤 대통령이 ‘2선 후퇴’를 선언하면서 정 대사의 귀국 일정은 불투명해졌다.
대사가 귀국하려면 대통령의 명령이 있어야 하는데, 대통령의 인사권을 향한 야당의 반발이 거세기 때문이다.
‘내란 혐의’를 받고 있어 ‘정치적’ 저항이 크다는 점도 부담이다.
후임자인 김 전 실장의 부임 일정도 영향을 받고 있다.
김 전 실장은 이미 중국 정부로부터 아그레망(외교사절에 대한 사전 동의)을 받았다.
예정대로라면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신임장을 중국에 제출한 뒤 이달 말 부임해 대사 업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었다.
아울러 김 전 실장이 부임한다 해도 업무에 상당한 제약이 생길 수 있다는 시각이 많다.
중국 입장에서는 현 정부보다 차기 정부와 관계를 다지려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윤 대통령의 거취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김 전 실장의 부임이 지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 전 실장은 내정 당시 윤 대통령의 측근이자 중량급 인사로 관심을 모았다.
중국 관영 매체들도 김 전 실장의 내정 소식을 반기며 한·중 관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쳤다.
일각에선 이러한 점을 감안해 김 전 실장의 부임이 무산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한편, 다이빙 신임 주한 중국대사는 오는 23일 부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 중국대사는 지난 7월 싱하이밍 전 대사가 물러난 뒤 5개월째 공석이다.
지금까지 중국 정부는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한국의 내정으로 논평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