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發 머니 무브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8일(현지시간) 미국 방송 NBC와 인터뷰하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최근 소통한 사실을 공개했다.
두 인물의 통화는 트럼프 당선인이 중국에 '추가적인 관세 10%' 부과 사실을 밝힌 이후에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펜타닐 등 마약 유입을 해결해야 하는 책임을 중국에 지우며 사실상 '관세 협박'에 나선 이후 두 정상의 통화가 이뤄지면서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무기화'는 이미 실행에 옮겨진 모습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인터뷰에서 시 주석과 지난주에 소통했다는 사실을 두 차례 밝혔다.
그는 미국으로 펜타닐을 보내는 중국 범죄자들에 대해 "최대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최근 시 주석과 소통한 사실을 언급했다.
트럼프는 "우리는 이번주에 대화를 나눴다.
나는 (과거에) 그들(중국)이 미국으로 마약을 보내는 이들에 대해 사형을 집행할 계획이라는 대화를 그와 나눴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최근 나눴던 대화에서는 이 같은 이야기를 논의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의 대만 침공 우려에 관한 질문에 답하면서도 "나는 시 주석과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고 계속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진행자가 당선 후에 연락했는지 묻자 그는 "3일 전에 소통했다"고 답했다.
인터뷰가 지난 6일에 진행됐음을 고려하면 통화 시점은 트럼프 당선인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 계획을 밝힌 이후였던 셈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25일 자신이 소유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펜타닐 등 마약 유입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내년 1월 20일 취임 당일 중국에 추가 관세에 더해 10%를 더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 측은 "무역·관세 전쟁의 승자는 없다"고 반박했다.
트럼프가 선거운동 과정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관세 협박'이 실제 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셈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인터뷰에서 '관세의 위력'에 대해 여러 차례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중국에서 수입되는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를 언급했다.
그는 1기 행정부 당시 한국·중국에서 수입되는 세탁기에 대한 관세를 20%에서 50%로 인상한 것이 월풀 등 미국 기업을 구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우리는 수천·수만 개 일자리를 구했다.
그들은 모두 세탁기를 덤핑하고 있었다"며 "내가 관세를 부과하자 그들(월풀 등 미국 세탁기 제조 기업)은 성공적인 기업이 됐다"고 말했다.
인터뷰 이후 NBC는 트럼프 당선인의 언급과 관련한 팩트 체크에서 "세탁기에 대한 관세가 미국 내 일자리를 늘린 것은 사실이지만, 그가 주장한 정도까지는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고율 관세 부과 시 미국 국민의 부담이 증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할 수 있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나는 어떤 것도 장담할(guarantee) 수 없다"고 말한 뒤 1기 정부 때 대(對)중국 관세 부과를 거론하면서 "우리는 수천억 달러를 (관세로) 받았으나 인플레이션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관세를 크게 신봉한다.
나는 관세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적절하게 사용되면 관세는 많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관세는 경제적으로뿐만 아니라 경제 이외의 것을 얻는 데에도 매우 강력한 도구"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유럽의 방위비와 무역 불균형 문제를 지적하면서 러시아 위협에 대응한 안보 동맹체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서의 미국 탈퇴까지 시사했다.
그는 "나토가 우리를 이용하고 있다.
무역에서 유럽 국가들은 우리를 끔찍하게 이용하고 있다.
그들은 우리 자동차와 식료품 등 아무것도 가져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트럼프 당선인은 한국에도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하겠다고 여러 차례 언급했던 만큼, 압박에 나설 가능성이 작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불법 이민자 문제와 관련해 2기 임기 동안 모두 추방할 것이냐는 질문에 트럼프는 "나는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는 (불법 이민) 범죄자부터 시작하고 그다음에 다른 사람들을 할 것이며, 그것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당선인은 출생 시민권 제도 폐지 계획이 여전한지를 묻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내년 1월 취임사의 핵심 메시지에 대해 "그것은 통합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면서 "나는 (미국의) 성공이 통합을 가져온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