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르면 오는 11월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가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연준은 제로 금리를 유지하면서도 금리인상 시점도 앞당길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했습니다.

테이퍼링은 통상 금리인상의 준비작업으로 해석되기에 연준이 이를 곧 시작해 내년 중반에 마무리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함에 따라 통화정책 정상화를 향한 전환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연준이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22일(현지시간) 내놓은 점도표에 따르면 18명의 위원 중 9명이 내년에 금리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2020년 3월 이후 제로 금리 수준에 머물러온 기준금리가 내년에는 인상될 것으로 전망한 위원이 절반에 달한 것입니다.

이는 지난 6월 FOMC 당시의 7명에서 2명 늘어난 것으로 6월에는 18명 중 13명이 2023년 금리인상을 예상했었습니다.

현 수준의 제로 금리가 2023년에도 유지될 것이라고 답한 위원은 6월 5명에서 1명으로 줄어들면서, 6월에 이어 9월 회의에서도 금리인상 시점 전망이 전반적으로 앞당겨진 것입니다.

연준은 금리인상의 준비작업이나 다름없는 테이퍼링에 대해서도 곧 시작될 수 있다면서 좀 더 구체화한 입장을 제시,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점진적 테이퍼링을 내년 중반께 마무리하는 게 적절할 것 같다는 데 위원들이 일반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경기 부양책을 거둬들이는 첫 번째 움직임을 설명하면서 테이퍼링이 "다음 회의에서 나올 수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11월 2∼3일 예정된 FOMC 정례회의를 지목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습니다.


다만 파월 의장은 필요하다면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뒀고, 또 테이퍼링이 금리 인상 초읽기에 착수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고 선을 긋기도 했습니다.

이런 발언은 파월 의장이 올해 8월 말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경제가 기대만큼 광범위하게 진전되면 올해 안에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기 시작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고 한 것보다 한 걸음 나아간 언급으로 평가됩니다.

이에 따라 11월 2∼3일 예정된 다음 FOMC에서 테이퍼링 착수가 공식 발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르면 11월 FOMC에서부터 테이퍼링이 시작될 수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으며,TD증권의 미국 거시 전략 총괄인 짐 오설리번은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곧'이 11월을 뜻한다는 점을 매우 분명히 했다"면서 "이전 주기보다 꽤 앞당겨졌다"고 평가했습니다.

연준의 이 같은 발표는 델타 변이 확산에 따른 경제회복 둔화와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그룹의 파산 가능성 등에 따른 우려에도 물가상승이 예상보다 지속적일 수 있다는 판단에 토대를 둔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들어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수요 회복 및 원자재·인력 공급 차질이 맞물리면서 물가상승에 전반적으로 압력이 가해진 상황을 더는 일시적인 것으로 치부하기 어렵다는 판단일 수 있습니다.

연준이 주로 참고하는 물가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6월과 7월 30년 만에 최대폭의 상승을 기록했으며 물가상승에 대한 경고도 잇따랐습니다.

다만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고용회복세에 차질이 빚어진 상황은 테이퍼링 시점에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테이퍼링을 거쳐 금리인상이 이뤄지면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에 따른 초완화 정책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통화정책 정상화로 방향 바뀌는 셈입니다.

파월 의장은 미국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현실화하면 경제에 심각한 피해가 있을 것이라며 의회에 부채한도를 시급히 상향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이어 채무불이행 사태에 대해서는"생각할 수 없는 것"이라며 "부채한도가 시의적절하게 상향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임정화 인턴기자 / limj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