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상반기 인터넷·게임 업종 주가 수익률은 양호?
·2017년 인터넷/게임 업종 주가수익률 (단위:%)
엔씨소프트 63.6
더블유게임즈 63.1
카카오 35.2
컴투스 34.2
NAVER 6.5
넷마블게임즈 -8.6
평균 34.3
(자료:Wisefn)
A. 인터넷 업종, 4차산업혁명 관련 기대감으로 상승
A. 게임 업종, MMORPG 중심으로 시장 확대 기대감
A. 본격 옥석 가리기, 실적 따라 온도차 발생
Q. 6월 ‘리니지M’ 출시, 시장 영향은?
·‘리니지M’, 게임의 새 역사 쓰다!
- 출시 이후 12일 동안 누적매출액 1,000억 원
- 누적 가입자 700만 명
- 일평균 이용자 수 150만 명
- 일평균 매출 90억 원
A. 아이템 시세 형성되면 더욱 과감히 게임에 투자
Q. 모바일 게임 시장, ‘MMORPG’가 대세?
'MMPRPG'
수백 명 이상이 동시에 게임에 접속하여
서로 협업하며 즐기는 온라인 게임
A. ‘리니지2:레볼루션’, MMORPG의 저력 보여줘
A. 강력한 커뮤니티 형성되는 MMO 장르
A. 중국 시장 MMORPG 침투율 높은 시장
A. 매출 규모 측면에서는 MMORPG 장르가 유리
Q. 모바일게임의 화두, ‘덱스(DeX)’의 확산, 영향은?
'덱스(Desktop Experience)'
스마트폰을 모니터나 TV와 연결해
사용하는 도킹스테이션
A. 외관·콘텐츠 모두 PC게임과 유사해지는 ‘모바일 게임’
A. 모바일 게임을 PC로 구동하는 유저들 늘어나
A. 하드코어 장르 중심으로 덱스 수요 늘어날 것
Q. 새 정부, 게임 산업 규제 완화 움직임?
A. 정부규제 아닌 ‘자율 규제’로 전환 논의
A. 기업 자체적인 ‘가이드라인’ 제시 방향으로 전환
A. ‘친 게임’ 인사 다수 등용, 우호적 분위기 형성
Q. 인터넷 업종, AI관련 글로벌 및 국내 업황은?
·국내 지능형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추이 (단위:조원)
2013 1.2
2014 1.4
2015 1.7
2016 1.9
2017 2.1
(자료:미래창조과학부, 현대경제연구원, IBK투자증권)
A. 구글·아마존·페이스북 등 글로벌 업체 경쟁 치열
A. 올해 미국 Tech기업, 총 10,000명 인력 추가 채용
A. 네이버·
카카오, AI 연구개발 전담조직 설립
Q. AI 성과 기대되는 분야…‘온라인 광고’?
A. 페이스북, 이용자 데이터 기반 광고 40% 성장
A. 온라인광고, AI 신기술 가장 우선적으로 접목
Q. ‘인터넷·게임’ 업종 2분기 실적 전망은?
하단) 2분기 실적은 대체로 부진할 것
하단) 네이버, 신기술 투자가 매출 성장보다 앞서
하단)
카카오, 전분기 대비 성장세 이어갈 것
하단)
엔씨소프트, 리니지M 2분기 반영분 크지 않아
Q. ‘인터넷·게임’ 업종 탑픽 종목은?
A. '
카카오', 모빌리티·페이·뱅크 등 호재성 이슈 산재
A. 지난 4분기부터 광고부문 턴어라운드 가시화
A. 하반기 광고 개편 및 모빌리티 수익화에 따른 실적 개선
A. '
엔씨소프트', 리니지M 성과 반영…폭발적 실적 성장
A. 대작 IP 라인업 다수 보유, 모바일 전환 순탄
IBK투자증권 김한경 연구원 by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