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기업 등급전망, 전년보다 악화…석유화학 구조조정 가능성"

국제 신용평가사 S&P는 자사가 평가하는 국내 주요 기업의 올해 신용등급 전망이 전년 대비 악화했다고 2일 밝혔습니다.

박준홍 S&P 글로벌 레이팅스 상무는 이날 오전 서울 명동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 '글로벌 교역 축소, 높아지는 신용도 부담'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지난해 6월 기준 S&P가 평가하는 국내 기업 39개사의 등급 전망 비중은 '긍정적'이 5%, '안정적'이 87%, '부정적'이 8%였습니다.

그러나 올해 6월 현재 '안정적'이 85%로 전년 대비 2%포인트 감소한 반면 '부정적'은 15%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긍정적'은 없었습니다.

특히 등급 전망이 '부정적'으로 평가된 기업은 주로 중국발 과잉 공급 리스크에 직면한 석유화학 업종에 집중됐습니다.

박 상무는 "많은 석유화학 기업이 수익성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데, 특히 재무 측면에서 단기성 차입금이 많다"면서 "유동성 이슈가 단기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지만 펀딩 비용 상승은 압박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그는 "한국의 석유화학 기업이 범용 제품을 많이 생산하고 있는 만큼 원가 경쟁력이 높은 중국 기업과 경쟁이 쉽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산업 전반적으로 구조조정의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중국발 과잉 공급 외에도 박 상무는 한국 기업이 직면한 리스크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무역 갈등, 전기차 전환 수요의 둔화, 인공지능(AI)의 빠른 성장 등을 꼽았습니다.

김대현 S&P 상무는 최근 급증한 가계 부채와 양극화한 부동산 시장이 한국의 금융 산업에 위험 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향후 내수와 관련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부채 리스크가 커질 수도 있다"며 "국내 내수 관련 노출이 많은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