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이스라엘 공격 직후 준비
호르무즈, 세계 에너지 20% 길목
실제 매설 및 제거 여부는 불분명
 |
호르무즈 해협. 로이터연합뉴스 |
이란이 이스라엘로부터 공습을 받은 후 페르시아만 선박에 해상 기뢰(선박을 파괴할 목적으로 수중에 설치하는 폭탄)를 적재하면서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준비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미 정보당국 관계자들을 인용해 지난달 13일 이스라엘이 이란에 대한 첫 미사일 공격을 개시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런 정황이 포착됐다고 보도했다.
이란이 선박에 적재한 해상 기뢰가 실제로 매설됐다면 호르무즈 해협이 막혀 선박들이 통행할 수 없다.
호르무즈 해협은 오만과 이란 사이 위치한 해협으로 전 세계 석유와 가스 소비량 20% 가량이 이곳을 통과한다.
봉쇄가 곧 세계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이란 역시 이스라엘의 공습이 길어지자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기뢰가 실제 매설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 정보당국은 기뢰 적재가 속임수일도 있다고 본다.
익명을 요구한 정보당국 관계자는 “기뢰 적재가 속임수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며 “이란은 워싱턴이 해협 봉쇄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믿도록 기뢰를 준비하면서도 실제로 봉쇄할 의도가 없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만약 기뢰가 실제로 매설됐다면 지금은 제거됐는지도 불분명하다.
미국 국방정보국(DIA)에 따르면 이란은 2019년 기준 5000개가 넘는 해상 기뢰를 보유하고 있고, 소형 고속정에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
이란의 기뢰 적재 상황에 대한 질문에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의 ‘미드나잇 해머’(한밤의 망치) 작전의 실행, 후티 반군에 대한 성공적인 군사작전 등 최대의 압박 작전으로 호르무즈 해협은 여전히 열려있다”며 “항해의 자유가 회복됐다”고 답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