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앞두고 후보들이 재정 확대 경쟁을 벌이면서 가뜩이나 줄어드는 세수와 미스매칭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이 세수 확보를 위해 한국에 부가가치세 인상을 권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가세는 1977년 도입된 이후 50년 가깝게 10% 단일 세율로 고정돼 있다.


1일 조세재정연구원에 따르면 IMF는 지난해 말 한국 정부, 한국은행 등과 연례협의를 거쳐 올해 초 발간한 보고서에 이 같은 세입 확충 방안을 담았다.

IMF가 제시한 방법은 부가세 세율 인상과 감면 조정이다.

또 IMF는 개인소득세 세액공제 증가 추세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IMF가 부가세 인상 필요성을 제시한 이유는 선진국 대비 부가세율이 낮아 부가세 수입이 부족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IMF는 "한국의 부가세 세율은 10%로 선진국 평균인 18.5%보다 낮다"며 "다른 선진국들의 부가세 감면 규모는 감소한 반면 한국은 오히려 증가 추세에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작년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부가세 인상을 제안했다.


실제로 부가세는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세율이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

부가세를 올리면 전반적인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고 이 경우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에 더 큰 부담이 되기 때문에 정권과 관계없이 세율은 건드리지 못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한국의 부가세율은 선진국 대비 낮은 편이다.

2023년 기준 영국과 프랑스는 20%다.

이탈리아는 22%로 주요국 중 부가세율이 가장 높다.

독일도 19%다.

OECD 평균 부가세율은 19.2%다.

OECD 37개국 중 한국보다 부가세율이 낮은 곳은 캐나다(5%)와 스위스(7.7%) 단 두 나라뿐이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