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 나서
직류 기반 칠러 국내 첫 개발
신재생에너지 최적화 대응
냉각 솔루션 B2B 사업 확대
 |
LG전자가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를 줄인 냉각 솔루션 개발에 본격 나선다. 24일 서울시 중구 한화빌딩에서 한국전력, (주)한화 건설부문과 ‘직류 기반 데이터센터 구축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승모 (주)한화 건설부문 대표,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 부사장. LG전자 |
LG전자가
한국전력, ㈜한화 건설부문과 함께 국내 최초로 직류(DC) 방식 대형 칠러 개발에 나선다.
기존 교류(AC) 방식과 달리 직류 방식은 전력 변환 과정 없이 냉각설비를 구동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LG전자는 24일 서울 중구 한화빌딩에서
한국전력, ㈜한화 건설부문과 ‘직류 기반 데이터센터 구축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협약식에는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 부사장,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가 참석했다.
3사는 총 10MW 규모 데이터센터 서버와 냉각설비 중 1MW를 직류 전력으로 공급하는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대응해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전력 절감형 데이터센터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대부분 발전소는 교류(AC) 전력을 공급하지만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직류(DC) 전력을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교류로 변환 시 약 10%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데
LG전자는 이를 줄이기 위해 국내 최초로 초대형 직류 칠러 개발에 나선 것이다.
AI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효율과 열 관리 중요성이 커지면서
LG전자는 고효율 냉각 기술을 앞세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LG전자는 데이터센터 열 관리를 위해 다양한 고효율 냉각 솔루션을 확보하고 있다.
칩을 직접 냉각하는 액체냉각(CDU), 실내 온도를 낮추는 공기냉각, 직류 전력 대응 솔루션 등 맞춤형 제품 등을 보유했다.
특히 최근 평택 칠러공장에 AI 데이터센터 전용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최적의 냉각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
LG전자의 냉난방공조(HVAC) 경쟁력은 압축기, 모터 등 핵심 부품을 자체 개발하는 ‘코어테크’에 기반한다.
인버터 기술을 통해 필요한 만큼만 전력을 소비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해 말 HVAC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ES(Eco Solution)사업본부를 신설했다.
ES사업본부는 AI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원전, 메가팩토리 등 신성장 사업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재성
LG전자 부사장은 “국내외 다양한 데이터센터에 공급해온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력 절감형 냉각 솔루션 개발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