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불 피해지역의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위험목 제거, 조림사업, 산사태 대응대책 등에 본격 착수합니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오늘(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산불 피해지역의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조속히 예방사업을 시행하고, 우기 전까지 산사태 등 토사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산림청은 울산 울주군에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파견해 산사태 우려 지역을 점검했고, 평가 결과에 따라 응급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오는 6월까지 복구를 완료한다는 계획입니다.
항구복구도 순차적으로 추진됩니다.
또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해 기존 임도 타당성 평가 항목에 '재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추가해, 설계단계부터 재해 예방 기능이 반영되도록 했습니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임시 대피자는 총 1천972세대, 3천274명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약 2천400명은 임시숙박시설로 이동한 상태입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모금된 국민성금은 925억원에 달합니다.
정부는 인명 및 주택 피해자에게 긴급생계비 300만 원을 우선 지원할 계획입니다.
산불로 인한 정신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심리지원 건수도 약 8천 건에 이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오는 15일까지 진행되는 중앙 재난피해 합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말까지 장기 복구계획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고 본부장은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 지원은 정부뿐 아니라 공공기관 주택사업과 연계해 추진하고, 피해지역 특성에 맞는 공동체 회복을 위한 제도개선과 재정지원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달 말까지 산불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라며 "관계기관의 철저한 산불 감시와 함께 국민 여러분의 예방수칙 준수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