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銀, 27일까지 가계대출 1.5조↑
전달 대비 3조 증가했던 2월과 대비
 |
한 은행 점포 안으로 시민들이 들어가고 있다. [이충우 기자] |
이번달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달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했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를 이어가면서 이달 들어 큰폭의 증가세가 나타나지 않은 셈이다.
다만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재지정 영향 및 풍선효과 가능성이 아직 반영되지 않아 금융당국은 다음 달 가계대출 추이에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30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이달 27일까지의 가계대출 총합은 738조2791억원으로 전달인 2월 736조7518억원보다 1조5272억원 늘어났다.
지난 2월에는 전달 대비 3조931억원이 불어났는데, 한달 새 가계대출 증가폭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음을 알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은 1조4642억원, 전세대출이 2538억원, 신용대출이 1064억원 늘어났다.
3월 중순까지 폭증했던 신용대출은 월말로 가면서 안정되면서 1000억원 정도 늘어나는 데 그쳤다.
 |
을지로의 한 시중은행의 가계 대출 부스. [사진 = 연합뉴스] |
변동 폭이 큰 월말 영업일(28·31일)을 감안해도 이달 증가액이 이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금융당국이 한창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섰던 지난해 연말과 비슷한 수준에서 증가할 것이란 의미다.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11월엔 전달 대비 1조2575억원, 12월의 경우에도 전달 대비 7963억원 늘어난 바 있다.
이는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세를 자극했던 신학기·이사철 수요가 사라진 데다가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신규 대출 및 승인 추이 등을 지역별·월별로 관리한 영향이 크다.
금융당국은 이달 가계대출 추이에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및 재지정 영향은 미미하다고 보면서도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이후 서울 지역 대출 동향을 구 단위로 세분화해 살펴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이후인) 지난주 가계대출 추이에 큰 특이동향은 나타나지 않았다”며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된 강남·서초·송파·용산구 대출 승인 건수 등이 서울 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주택 거래와 가계대출 실행에는 1~2개월 시차가 있기에 4월 이후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이를 살펴보는 중이다.
한편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다주택자·갭투자자와 관련 가계대출을 다시 조이고 있다.
다주택자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제한, 갭투자 방지를 위한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제한 등을 강화한 데 더해 추가 조치가 필요한지 등을 살피고 있다.
은행권들도 분기별 가계대출 관리 목표를 달성해야 해야 하는 상황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