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행동주의펀드가 대상 기업에 가장 크게 목소리를 내는 주제는 단연 '주주환원'이다.

이에 더해 이사회 장악이나 보수 체계 변경, 임원 해임에 이르기까지 기업 내부 경영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3일 키움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행동주의펀드에서 가장 많이 제안된 안건은 주주환원이 20건으로 가장 많았다.

2014년 3건에 불과했지만 2022년 9건, 2023건 21건까지 늘었다.


주주환원 다음으로는 임원 해임(14건), 보수 체계 변경(12건), 이사회 장악(11건), 이사 선임(10건), 제3자 행동주의 지지(4건) 등 순이었다.


거세지는 주주환원 요구에 비해 기업들의 자발적인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는 여전히 미진한 수준이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약 84%의 일본 상장사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했다.

반면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국내 상장사 2627곳 가운데 밸류업 공시를 한 곳은 173곳으로 약 6.59%에 불과하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2~3년 사이 주주환원 확대를 요구하는 주주제안이 급증한 점은 정부 주도하에 기업가치 제고 방안 공시를 권고하면서 행동주의펀드 입장에서도 이를 요구할 명분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며 "저조한 밸류업 공시율을 감안할 때 행동주의펀드의 주주환원 확대 요구는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내다봤다.


올해 정기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국내외 행동주의펀드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국내 대표 행동주의펀드 얼라인파트너스는 코웨이 지분 약 2.84%를 확보하고 주주행동에 나섰다.

과거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최대주주였을 때와 비교해 주주환원율이 크게 낮아졌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는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보다는 단기 수익 실현을 추구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수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