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에 단비’ 거래도 선호 지역 단지만…고가-중저가 아파트값 격차 더 벌어졌다

서울 송파구의 공인중개사무소 전면 유리벽에 호가를 올린 아파트 가격 안내장이 붙어있다.

[김호영 기자]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의 가격 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주택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한 가운데 서울 핵심지와 수도권 주요 지역에 수요가 몰리는 쏠림현상이 가중된 영향으로 보인다.


20일 KB부동산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평균가격 5분위 배율은 11.1으로,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고치다.


전국 5분위 배율은 2022년 11월 10.7을 기록한 뒤 2023년 5월 10까지 줄었다가 다시 커졌고 지난해 9월(10.8)부터 매달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전국 5분위 배율은 2020년 1월 6.9였다.


5분위 배율은 가격 상위 20%(5분위) 평균을 하위 20%(1분위)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5년 전에는 상위 20% 평균값이 하위 20%의 7채 정도였다면 지금은 11채에 해당한다는 의미다.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5.6) 역시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2022년 말~2023년 초에는 4.5 내외였다.


5분위 배율이 커진 이유는 선호 지역·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오름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값은 0.02% 하락한 반면, 서울은 4.5% 상승했다.

특히 서울에서도 상급지로 꼽히는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의 상승률은 7~10%로 오름폭이 두드러졌다.


주택업계 관계자들은 이같은 가격차 배경으로 주택 시장의 불안정 흐름 속에서 상급지 갈아타기 등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수요자들의 증가를 꼽았다.

하반기 대출 규제가 강해지면서 중·저가 아파트 수요자의 관망세가 짙어진 데 비해, 자금 여력이 있는 자산가들이 활발하게 움직인 것도 고가·저가 아파트의 격차 확대에 한몫했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아파트 매매에서 15억원을 초과하는 거래가 차지하는 비율은 2021~2023년 14~18% 내외였다가 작년 상반기 21%, 하반기에는 23.8%로 높아졌다.

수도권은 2022년 하반기 2.5%에서 지난해 하반기 7.8%로 3배 이상 늘었다.


업계 관계자들은 주택시장 양극화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선호 지역·단지일수록 가격 오름폭이 더 크다는 학습효과가 있는 데다가 다주택자들 사이에서도 핵심 지역 우량 주택 한 채에만 집중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며 “이들 지역과 단지의 쏠림이 계속되면서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사이의 가격 격차는 더 벌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