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땅값이 2.15% 올랐다.

땅값 상승폭이 전년보다 확대된 것은 2021년 이후 3년 만이다.

전국에서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구축되는 경기 용인 처인구였다.


국토교통부가 23일 발표한 '2024년 전국 지가 상승률 및 토지 거래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가는 2.1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지가 상승률은 2021년 4.17% 오른 뒤 2022년(2.73%), 2023년(0.82%) 연속으로 상승폭이 축소됐으나 지난해 2%대로 올라섰다.


최근 땅값 상승률은 다시 꺾이는 추세다.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 상승 전환한 뒤 22개월 연속 오르다가 지난해 10월부터 2개월 연속 상승폭이 축소됐다.

지난해 지가 변동률은 수도권(1.08%→2.77%)과 지방(0.40%→1.10%)에서 모두 전년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울(3.10%)이었고, 그 뒤를 경기(2.55%)와 인천(1.84%)등이 이었다.

수도권 위주로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제주 땅값은 0.58% 하락하며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에서는 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서고 신규 택지도 조성되는 용인 처인구의 땅값 상승률이 5.87%로 가장 높았다.

처인구 땅값은 전년에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6.66%)을 보였다.

이어 서울 강남구(5.24%), 성남 수정구(4.92%), 대구 군위군(4.51%), 서울 서초구(4.01%)의 땅값 상승폭이 컸다.


지난해 토지는 약 187만6000필지(1236.3㎢)가 거래됐다.

이는 전년도 대비 5만필지(2.7%) 증가하고 2022년보다는 33만3000필지(15.1%)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9개 시도에서 토지 거래량이 늘었다.

그중에서도 울산이 전년 대비 18.4%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서울은 12.3%, 경기는 6.1% 증가했다.

건물이 안 딸린 순수토지 거래량은 서울 22.1%, 대전 11.0% 대구 5.9% 세종 5.9% 등 4개 시도에서 증가했다.


[이희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