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 뒤 방치' 화이자 백신 서울 고대구로병원서 140여 명에 접종

[사진: 고대구로병원이 접종자에게 보낸 문자, 제보자 제공]


서울 고려대구로병원에서 해동 뒤 접종 권고 기한이 지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140여 명에게 접종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상반응을 느낀 일부 접종자들은 오늘(4일) 새벽부터 응급실을 찾아 검사를 받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백신이 제대로 된 효과를 낼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재접종' 여부를 심의 중입니다.

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6∼27일 고려대구로병원에서 화이자 접종을 진행하면서 해동 뒤 접종권고 기간이 임박했거나 초과한 백신을 투여했습니다.

화이자 백신은 냉동 상태로 보관한 뒤 냉장고나 상온에서 해동해 써야 합니다.

미개봉 바이알(병)은 최대 2시간까지만 상온 보관해야 하고, 바이알을 열어 식염수에 희석했다면 6시간 안으로 써야 합니다.

버려져야 할 백신을 맞은 접종자는 140여 명이며, 대부분 1차 접종자였습니다.

고려대구로병원은 어젯밤 접종자들에게 "해동 후 접종 권고기한이 임박했거나 약간 초과된 백신을 접종받으신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문자를 보냈습니다.

이어 병원은 문자에서 "안전성에 우려는 없지만 충분한 면역이 생기지 않을 우려가 있어 질병청 전문가 심의위원회에서 재접종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구로구 보건소는 "유효기간이 8월 20일 또는 26일인 백신을 8월 26일, 27일에 접종했다"며 "병원은 이 사실은 오늘(3일) 인지하고 오후 5시에 보건소로 유선보고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접종자 A 씨는 "백신 접종 후에 심장 두근거림과 근육통 증세로 내과 진료도 받았는데 접종 사고가 있었다는 사실을 밤중에 문자로 통보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A 씨는 "구체적인 대응 방안도 알려주지 않는 보건소와 병원의 무성한 태도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른 접종자의 보호자인 B씨는 "부스터샷(예방효과 보강을 위한 추가 접종) 지침이 확정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3차 접종을 하게 생겼다"며 "안전이 보장되는지 매우 불안하다"고 말했습니다.

고려대구로병원은 이상반응이 있는 접종자는 응급실로 바로 갈 수 있도록 조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병원 관계자는 "백신 재접종 여부에 대한 당국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며 "정부 지침에따라서 후속 조치를 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내부 점검, 관리, 교육을 철저히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