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8월 30일~9월 3일) 국내 증시는 미국 제조업지수와 고용 지표 등을 주목하며 지난주처럼 단기적 박스피(코스피+박스권)의 흐름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지난주(8월 23일~8월 27일) 코스피지수는 전주보다 1.41% 오른 3133.90으로 마감했습니다.

외국인 매도세에 3060선까지 떨어졌던 지수는 지난주 중 4거래일 오르며 3130선을 회복했습니다.

외국인은 지난주 4천471억원을 순매도했지만, 기관이 1조8천363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미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관망 심리가 작용한 가운데,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상도 주식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진 않았습니다.

증권업계는 이번주 코스피 밴드로 3060~3200선을 제시했습니다.

지난 27일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금리 인상 우려가 줄면서 시장은 안도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은 "경제가 기대만큼 광범위하게 발전한다면 연내 테이퍼링을 시작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면서도, 코로나19 추이와 고용 회복세 지속 여부 등을 면밀히 살핀 후 최종 결정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향후 테이퍼링 시기와 속도가 금리 인상 시기에 직접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이 별개라는 메시지를 강조한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파월 의장이 금리 인상을 당장 하지 않겠다는 신호를 시장에 주면서 시장의 걱정을 덜어줬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파월 의장의 발언이 국내 증시의 추세적 상승을 이끌기는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당장 금리 인상 우려는 줄었지만, 반도체 업황 불안감과 환율 문제, 중국 규제 부담,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 등 여러 변수가 남아 있어 당분간 상승 여력이 크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제 시장은 이번주 월초를 맞아 발표되는 미국 제조업지수, 고용지표 등의 경제지표를 예의주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는 9월 1일에는 미국 8월 ISM(공급관리협회) 제조업지수가, 3일에는 미국 8월 비농업부문 고용지수와 실업률, 8월 ISM 서비스업지수가 발표됩니다.

NH투자증권은 미국 고용은 70만명대를 유지하고 실업률은 5.2%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국 ISM 제조업지수는 59포인트 초반으로, 0.5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코로나19 확산이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매크로 모멘텀(상승 동력) 피크아웃(정점 도달) 우려를 계속해서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이어 코스피가 단기에 기술적 반등 목표치를 넘어설 만한 동력이 강하지는 않다며, 은행 등 금리민감주와 유통, 의류, 엔터 등 리오프닝 관련주에 관심을 둘 것을 조언했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