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정부가 서울역 등 일부 민자역사의 유통매장을 국가에 귀속시키겠다고 지난 9월 밝힌 바 있는데요.
그런데 이를 놓고 한화역사와 롯데마트가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정영석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지난 2004년 문을 연 롯데마트 서울역점.
이 곳은 지난해 1천6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롯데마트 점포 가운데 매출 1, 2위를 다투는 알짜 매장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지난 9월 정부가 점용기간 만료 이후 국가 귀속을 결정하면서 폐점 위기에 놓였습니다.
현재 서울역은 1987년한화역사가 30년간 점용허가를 받은 조건으로 개발했습니다.
이후 한화역사는 전반적인 사용 허가권을 쥐고 롯데마트와 2004년부터 2034년까지 30년 임대차 계약을 맺었습니다.
문제는 정부의 결정으로 한화역사의 점용 기간이 올해 끝나지만, 롯데마트의 임차 기간은 17년이 더 남았다는 사실.
애초 두 업체는 정부가 사용 기간을 연장해줄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정부가 귀속을 결정하면서 계획이 틀어지게 됐습니다.
결국 한화역사가 이를 따르기 위해 롯데마트에 임차권한을 포기하라고 통보하면서 갈등이 불거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화역사는 정부 결정으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면서 '불가항력적'인 상황이라고 주장합니다.
반면에, 롯데마트는 계약위반으로 협상도 하기 전에 권리부터 포기하라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반박합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정부 방침을 따를 것"이라면서도 보증금 109억 원과 위약금 20억 원, 휴업에 따른 손해액 등을 어떻게 배상할 것인지 먼저 협의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이를 둘러싼 갈등은 법적 다툼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정영석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