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지난 20일 본회의를 열고 용산정비창전면1구역 도시환경정비계획수립·구역지정(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지난달 17일 해당 구역의 정비계획결정을 위한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한 데 이어 이번에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개발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용산정비창전면1구역은 용산 지구단위계획의 핵심으로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과 상업시설, 문화공원 등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해당 구역은 한 때 분리개발 논란으로 전면 재검토 가능성까지 거론됐었습니다.

지난해 서울시의회 도시계획위원회가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소유자 간 갈등 문제가 거론됐기 때문이다. 의견 청취 과정에서 주민공람 의견 미제출자를 개발 반대로 인식한 오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설문조사 양식을 만들어 주민 의견을 다시 모은 결과, 주민 85.2%가 참석해 90%의 압도적인 비율로 통합 개발안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10년여를 끌던 개발계획에 속도가 붙게 됐습니다.

여기에는 조합설립추진준비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주민들의 노력이 있었습니다.

당초 서울시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계획이 확정된 이후 용산정비창전면1구역의 정비계획을 확정하려고 했지만 80%의 지역 주민들이 개발에 찬성하는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입니다.

차무철 조합설립추진준비위원장은 “주민들의 지지로 순부담율(기부체납비율)을 25%에서 21%로 낮추고 제2·3종 일반주거, 일반상업지역에서 준주거지,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를 상향할 수 있었으며 용적률을 518%에서 556%로 올릴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1차 공람안대비 건축계획연면적이 27만9천826㎡에서 34만5천364㎡로 늘어나 3.3㎡당 2천만 원(분양 시)으로 가정하면 약 4천억 원의 추가 수익을 올리게 된 것입니다.

차 위원장은 “시청, 구청과 수없이 많은 민원 공문과 회신문을 주고받으면서 끈질긴 협의 끝에 사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며 “전화 또는 문자로 격려말씀을 보내주시는 등 모두 지역 주민의 참여와 관심 덕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위원회는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며 개발 반대와 상가 분리를 요구해온 일부 주민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주민 간 화합에도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차 위원장은 “이제 첫 삽을 뜨게 됐지만, 앞으로도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우리 구역이 대한민국의 명품단지로 우뚝 서는 그날까지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