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재 전반적인 글로벌 경기 흐름은?
A. OECD, 글로벌 경제전망 3.3%→3.5%로 상향
A. 유럽·일본·신흥국 성장기대감 지속
A.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2.6% 이상으로 상향
A. 수출증가와 건설투자지표 좋은 흐름 보여

Q. 글로벌 무역량 증가, 유럽과 신흥국 영향?

·글로벌 수입 비중 (단위:%)

미국 13.6
유럽 28.3
이머징아시아 40.1

(자료:이베스트투자증권)

A. 한국의 수출증가, 유럽 경기회복 기대감이 작용
A.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도 줄어든 상황

Q. 하반기 정치 리스크도 완화될까?

·글로벌 주요 정치리스크
1) 브렉시트 등 유럽 정치리스크
2) 미국을 중심으로 한 통화 긴축리스크
3)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리스크

A. 마크롱 당선 등으로 유럽 정치리스크 대부분 완화
A. 미국 금리인상, 이머징 자금 유출로 이어지지 않아
A. 트럼프 탄핵 이슈도 하반기 갈수록 완화될 것

Q. 저유가로 불안한 시장, 바닥 쳤나?
A. 유가의 추가적인 하락은 제한적일 것
A. ‘미국 셰일오일 생산’이라는 공급적인 변화
A. 유가 하락이 글로벌 경기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아

Q. 미 연준 자산축소 방침, 영향은?
A. 연준 자산축소의 금리인상 효과, 0.25%~0.5%
A. 연준 자산축소 규모 월간 100억 달러 수준
A. 자산축소 효과로 금리 인상 속도 조절

Q. 유로존의 경제지표, 위기구간에서 벗어날까?
A. 소매판매·수출·무역수지 모두 좋은 흐름
A. 유로존의 경제지표,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 특징
A. 유로존 금융 안정세로 펀더멘탈 재조명

Q. 신흥국 중에서 주목해 볼 국가는?
A. 인도, 상품서비스부가가치세(GST) 시행
A. 쟁점 법안 통과로 세금 통일, 높은 성장 기대
A. 인도 GST 통과로 연간 1~2%p 성장률 상승 기대

Q. 하반기 국내 경제도 좋은 흐름 이어갈까?
A. 글로벌 물동량 증가로 한국 수출도 좋아질 것
A. 체질개선 위해 내수 성장 필요
A. 정부, 내수부양을 위한 일자리창출과 임금인상

이베스트투자증권 최광혁 연구원by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