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금요일 조기 퇴근, 실효성과 우려는?
하단) 시간 선택권 다양화 측면, 유연한 적용 필요
하단) 단순 노동 단축 아닌 노동의 질 대책 필요

Q. 최악의 소비심리, 진작 방향은 맞았나?
하단) '없는 것 보다 낫다' 식의 표면적 대책
하단) 양질의 일자리, 소득 증대 전제가 필수적

Q. 미술관·공연·여행·요식업계는 ‘환영’?
하단) 일부 업계·지역에 국한되나, 반짝 효과 기대
하단) 사회문화적 여가 트렌드 선도 정책 우선돼야

Q. 움츠렸던 내수주, 살아날까?
하단) 내수주, 획기적 반등 효과 기대는 무리
하단) 자칫 '빚 내서 소비하라' 잘못된 메시지 우려

Q. 구체적 방안 언제 확정되나…보완될 점은?
하단) 상반기의 단기적 이슈로 작용할 것
하단) 정부, 본질적 경제구조 변화 방안 필요

·내수활성화 대책 주요 내용
<소비심리 회복>
- ‘가족과 함께하는 날’ 지정
- 전통시장·대중교통 소득공제 강화
- 호텔·콘도 객실요금 인하
- 실버관광 활성화

·내수활성화 대책 주요 내용
<가계소득 확충>
- 조선업 특별고용지원 확대
- 일반계 고졸취업자 지원 등
<가계부담 완화>
- 전·월세 대출한도 확대
- KTX 조기예약 할인제도 도입 등

최영일 시사경제평론가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