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M머니 증권광장 (10시~12시)
■ 진행 : 강태호 캐스터
■ 출연 : 정영석 M머니 머니국
【 앵커멘트 】
네, 오늘 집중관찰
현대글로비스입니다.머니국에 정영석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일단 지분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대 글로비스의 지분은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글로비스는 어떤 회사인지 설명해주시죠.
【 기자 】
네,
현대글로비스의 최대 주주는 현대기아자동차그룹 정의선 부회장입니다. 정의선 부회장이 31.88%로 최대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그 다음이 정몽구 현대
기아차그룹 회장으로 11.51%를 갖고 있습니다. 노르웨이의 해운사 Wilh. Wilhelmsen ASA가 10.04% 국민연금이 8.08%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어 현대자동차가 4.88% 해비치사회공헌문화재단이 4.46%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대글로비스는 해외 물류 유통회사입니다. 매출의 절반가까이가 CKD, 반 완성제품 수출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현대·
기아차,
현대모비스의 수출 물량, 부품 수출 물량을 해외로 실어나르는 것을 주요 업무로 삼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최근 경제민주화 바람에 대기업의 일감몰아주기가 비판의 대상에 되고 있습니다.
현대글로비스도 모기업에서 받는 일감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 기자 】
박근혜 정부는 대기업의 일감몰아주기를 통한 증여에 세금을 부과할 계획으로 알려졌는데요.
그 기준은 매출에서 그룹 계열사에 대한 매출 비중을 30%를 넘어 일감을 받은 법인의 지배주주와 그 친족 중 3% 이상을 출자한 대주주는 세금 납부 대상이 됩니다.
현대글로비스는 총수 일가의 지분율이 43.4%에 달하고, 내부 거래 비중도 45.2%에 달해 과세의 대상이 됩니다. 때문에 향후 박근혜 정부가 일감몰아주기 규제를 구체화 하면 과세대한 이슈도 부각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멘트 】
현대글로비스가 모기업을 배경으로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한편으로는 한단계 진일보하기 위해서는 모기업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데요.
【 기자 】
현대글로비스 매출 중 절반이 계열사에서 나오다보니, 모기업의 실적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모기업의 리스크가
현대글로비스의 리스크가 되는 셈인데요. 이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매출 비중을 분산시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한국 신용평가는 이런 점을 지적하며 점진적인 3자물류 비중 확대가 신용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것으로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은
현대글로비스도 인식하는 듯 계열사 비중을 줄이고 있는데요. 현대오일뱅크 싱가포르와 1조원 대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했고, 말레이시아 현지 해운회사의 지분을 취득하기도 했습니다.
【 앵커멘트 】
말씀 감사합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