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위기의 자동차산업에 긴급 유동성 3조원 지원…"미 관세 충격 최소화"

【 앵커멘트 】
정부가 미국의 25% 관세 조치로 비상이 걸린 자동차업계 살리기에 나섰습니다.
3조원의 긴급 유동성을 지원하고 완성차 수출 감소를 대비한 내수 진작 지원책을 실행합니다.
구민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은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입니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의 대미 수출은 347억달러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49.1%를 차지했습니다.

그런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업계가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 인터뷰 : 최상목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기업 수출과 생산이 위축되면서 우리 경제의 위험이 가중될 우려가 커졌습니다. 관세 영향에 따라 제조업 등 수출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대미 수출은 약 65억 달러 감소하고, 완성차 업계의
영업이익은 약 10조원가량 줄어들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여기에 2만여 개의 중소 자동차 부품사들의 경영상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이에 정부는 오늘(9일) 자동차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긴급대응방안을 서둘러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자동차 산업에 긴급 유동성 3조 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정책금융을 2조원 더 늘려 기존 13조원에서 15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현대·기아차와 함께 1조원 규모의 상생 자금을 마련하고 협력 중소기업에 대출과 보증 등을 제공하는 지원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여기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고, 피해기업에는 법인·부가·소득세의 납부기한을 최대 9개월 연장해 준다는 계획입니다.

또 정부는 미국 관세 부과로 완성차 수출 물량 감소할 것을 대비해 내수 시장 활성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기업 할인액과 연계한 전기차 추가 보조금 기한을 연말까지 연장해 시행하고, 정부 매칭지원비율도 20∼40%에서 30∼80%로 확대합니다.

상반기 종료되는 신차 구매 개별소비세 탄력세율 적용도 기간 연장을 검토합니다.

또 정부는 수출 다변화와 신시장 개척을 위한 '수출 바우처'의 올해 예산을 기존 2천400억원에서 1천억원 이상 확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자율주행 기술을 국가전략 기술로 추가 지정하고 R&D·시설 투자 기업들의 세액공제를 확대하는 등 자동차 산업의 투자 환경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매일경제TV 구민정입니다.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