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일 국회가 이재명 정부 1기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일정을 시작한 가운데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왼쪽부터)가 각각 소관 상임위원회가 주최한 청문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의 연기 문제도 정부가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정 후보자는 단절된 남북관계를 복원하기 위한 밑돌을 놓기 위한 방편으로 통일부 명칭 변경과 한미 연합 군사훈련 연기 등을 거론했다.
또 정 후보자는 '북한이 주적이라는 의견에 동의하느냐'는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주적이 아니고 우리의 적도 아닌 것이냐'는 질문엔 "위협"이라고 답했다.
그는 청문회에서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이 한미 연합 군사훈련 연기와 관련한 질문을 하자 "앞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을 통해서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면서도 "정부 내에서 (한미 연합 군사훈련 연기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 초기 펼쳐졌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문재인 전 대통령이 미국에 연합 군사훈련 연기를 제안하며 본격화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재명 정부에서 이러한 주장에 힘이 실릴지는 미지수다.
북한 핵·미사일 역량이 문재인 정부 때보다 훨씬 강화된 데다 북·러 군사 밀착이 심화하는 등 과거보다 정세가 훨씬 나빠졌기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도 기존 한·미·일 안보 협력을 유지하며 상호 조율된 다년간의 계획에 따라 연합 군사훈련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정 후보자는 앞서 자신이 제기했던 통일부 명칭 변경 문제에 대해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논의해야 할 중요한 사안"이라면서도 검토 필요성이 크다는 논리를 펼쳤다.
그는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한반도부가 (통일부 명칭의) 대안 중 하나"라고 답변했다.
한편 야당은 인사청문회에서 정 후보자의 농지법 위반과
태양광 입법 이해충돌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김기현 의원은 "정 후보자가 농지를 취득하기 위해 위장전입을 하고, 농지를 사놓고도 재산 신고를 하지 않아 공직자재산등록 법률도 위반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유용원 의원은 정 후보자의 배우자와 아들이
태양광 업체를 보유 중인 상황에서 지난 3월
태양광 설비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취지의 법률을 발의했던 것을 지적했다.
정 후보자는
태양광 투자에 대해 "5년 전 선거에 실패하고 낙향해 생계형 호구지책으로 매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