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중국 정부의 내수 진작 정책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깜짝 반등'했음에도 생산자물가지수(PPI)가 23개월 만에 최대치로 떨어진 탓이다.

이에 중국 지도부도 '제 살 깎아먹기'식 가격 경쟁을 지적하고 나섰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6월 PPI가 1년 전보다 3.6%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5월(-3.3%)은 물론이고 시장 예상치(-3.2%)를 밑도는 수치로, 2023년 7월(-4.4%) 이후 23개월 만의 최대 하락률이다.

이로써 중국 PPI는 2022년 10월(-1.3%) 이후 3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게 됐다.


이와 관련해 둥리쥔 국가통계국 수석통계사는 "국내 일부 제조업의 경우 계절적인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이 하락했다"며 "신재생 에너지 증가로 인한 에너지 가격 하락과 수출 비중이 높은 일부 산업의 가격 압박 등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특히 과잉 생산에 따른 '출혈 경쟁'은 중국 정부가 가장 신경 쓰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달 초 주재한 중앙재경경제위원회 회의도 "기업들의 무질서한 가격 경쟁을 규제하고 낙후된 생산력을 질서 있게 퇴출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보다 앞서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달 말 사설을 통해 '네이쥐안(內卷·소모적인 과당경쟁)' 문화가 중국 전기차·배터리·태양광 등 여러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그 영향으로 중국 산업 전체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경쟁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지방 정부가 청년실업 해소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그러다 보니 중국 정부가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정부가 디플레이션 압력을 낮추기 위해 가격을 통제하고 생산력을 줄이기 위해 산업에 개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구체적으로는 △기업 생산력 감축 △노후 공장 폐쇄 △환경 규제 강화 등을 꼽았다.


반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에 비해 0.1% 상승하며 5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시장 예상치(-0.1%)도 상회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잇따라 내놓은 내수 진작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지만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하다.


이와 관련해 먀오얀량 중국국제자본공사(CICC)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는 약한 수요에 있다"고 지적했다.

고용 안정과 가계 소득 증대를 통한 소비 촉진이 불가피하다는 취지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