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발표에도 ‘무덤덤’…엔비디아 시총 4조달러 눈앞

뉴욕증권거래소.(사진=연합뉴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세 발언에도 크게 반응하지 않으며 보합권으로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 이후로는 연장하지 않겠다고 공언했으나 그가 숱하게 말을 번복해왔던 만큼 시장은 크게 개의치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나 이 또한 예상됐던 만큼 투심을 흔들지는 못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6포인트(0.37%) 내린 4만4240.7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6포인트(0.07%) 떨어진 6225.52, 나스닥종합지수는 5.95포인트(0.03%) 오른 2만418.46에 장을 마쳤다.


트럼프는 자신의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게시한 글에서 “관세는 2025년 8월 1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할 것”이라며 “(기한) 연장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협상 상대방이 더 좋은 제안을 가져오면 관세 부과 시점을 미룰 수 있다고 말한 것과 배치되는 발언이다.


트럼프는 또 이르면 이달 말 반도체와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는 점을 알렸다.

반도체에 대해선 구체적인 관세율과 부과 시점 등이 발표되지 않았으나 의약품은 최대 200%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트럼프가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점은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구리는 제조업 전반에 소요되는 필수 요소여서 관세발 인플레이션에도 취약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 발표 이후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구리선물 가격은 한때 17% 폭등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리베르타스웰스매니지먼트의 아담 쿠스 대표는 “우리는 미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정책을 무기화하는 움직임을 보고 있지만 이는 인플레이션 공포를 부채질할 것”이라며 “관세 위협이 공식 정책이 되면 힘을 발휘할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정치 랠리가 그렇듯 짧은 도화선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거대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7(M7)’ 중에선 엔비디아(1.11%)와 테슬라(1.32%)가 1% 이상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강세로 시총이 3조9000억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초 4조달러를 눈앞에 두게 됐다.

이 외 애플(0.03%), 메타(0.32%) 등이 오르고 아마존닷컴(-1.84%), 알파벳(-1.37%), 마이크로소프트(-0.22%) 등은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을 축소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는 소식에 에너지 관련주가 급등했다.

셰브런은 3.96%, 엑손 모빌은 2.77% 상승했다.

반면 태양광 관련주들은 일제히 약세였다.

선런 주가는 전일 대비 11%, 퍼스트 솔라는 6% 넘게 떨어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