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주가 100만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신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미국에서 신규 원전 건설은 15년 만에 처음이다.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뉴욕주와 펜실베이니아주, 미시간주에서 노후 원전을 앞다퉈 폐쇄했지만 이제는 그 흐름이 완전히 바뀌었다.

미시간주와 펜실베이니아주는 폐쇄 원전 재가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뉴욕주는 아예 새로 짓기로 했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는 글로벌 경제 패권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할 만하다.

국가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인공지능(AI)이 전기를 엄청나게 소모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AI 모델 훈련과 추론에 필요한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는 2024년에 이미 세계 전력 소비의 1.5%를 차지했다.

2030년에는 그 두 배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오늘날 일본 전체 전력 소비량을 웃도는 규모다.

이처럼 급증하는 전기 수요를 재생에너지로 감당하는 건 어렵다.

특히 AI 인프라는 '24시간 안정적인 고품질의 전력'을 요구한다.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달라지는 풍력과 태양광에 AI를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

현재로서는 원전만이 탄소 배출 없이 대규모 전력을 24시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원전이 필수인 이유다.


이미 미국 AI 기업들이 원전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방사능 누출 등으로 폐쇄된 스리마일섬 원전 재가동에, 아마존과 구글은 소형모듈원자로(SMR)에 투자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규제 완화로 화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첨단 원전 기술의 신속한 배치 등을 골자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일리노이주와 몬태나주, 위스콘신주는 원전 금지 규제를 해제했다.


이런 흐름과 비교해보면 한국의 상황은 우려스럽다.

이재명 대통령의 지난 대선 공약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집중돼 있고, 원전은 빠져 있었다.

그러나 'AI 3대 강국'이라는 공약을 달성하려면,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가 현실적으로 설계돼야 한다.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 전력의 핵심 축으로 원전 확대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