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기준 EOD 규모 2조6100억원
복합시설·오피스에서 주로 발생
|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입구 <연합뉴스> |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증가한 2조61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7000억원 가운데 7.5%에 해당하는 2조6100억원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발생한 EOD 1조3300억원 대비 두 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EOD는 주로 복합시설(1조5600억원), 오피스(7800억원) 투자에서 나타났다.
주거용 부동산과 호텔 투자에서도 각각 2400억원, 200억원의 EOD가 발생했다.
복합시설의 경우 EOD 규모가 1년 전보다 1조3800억원 증가했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 투자 비중이 높은 오피스 시장을 중심으로 개선이 지연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와 손실 확대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다만 해외 부동산 투자 잔액이 총자산 대비 규모가 크지 않고 충분한 손실 흡수능력 등을 고려하면 투자손실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6월 말 기준 56조3000억원으로 전기 대비 7000억원 감소했다.
금융권 별로는 보험사들의 투자 잔액이 31조2000억원(55.3%)으로 가장 많았다.
은행 11조7000억원(20.7%), 증권 7조8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 투자가 35조2000억원(62.5%)으로 가장 많고, 유럽 10조5000억원(18.6%), 아시아 3조9000억원(7.0%), 기타·복수지역 6조7000억원(11.9%) 순이었다.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는 올해 말 4조6000억원이 만기를 앞둔 것으로 집계됐다.
2030년까지 43조4000억원이 만기에 도래하며 만기가 2031년 이후인 투자액은 12조9000억원으로 확인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