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넷째 주 서울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6·27 대책’ 여파에 서울 상급지 ‘타격’
용산·성동구도 대출규제에 상승폭 축소
 |
서울 강남구 한 부동산 외벽에 붙은 매물판에 아파트 매매 호가가 쓰여 있다. [한주형 기자] |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유지된 가운데 서울의 상승폭은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27 대출 규제로 인한 서울 강남 3구 등 주요 상급지가 주춤하는 모양새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의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7월 넷째 주(28일 기준) 서울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로 전주(0.16%)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이 기간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로 전주(0.01%)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06%→0.04%), 지방(-0.03%→-0.02%), 5대광역시(-0.05%→-0.04%) 등 온도차가 감지됐다.
부동산원 측은 “재건축 이슈 단지 등에 대한 상승 거래가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부동산 시장 참여자의 관망심리가 지속되는 등 전반적인 수요가 위축되면서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짚었다.
특히 서초구가 전주 0.28%에서 0.21%로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강남구(0.14%→0.11%), 송파구(0.43%→0.41%), 강동구(0.11%→0.07%) 등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강북권에서도 용산구가 0.24%에서 0.17%로 상승폭이 줄었고, 성동구(0.37%→0.22%)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포착됐다.
 |
22일 경기도 성남시 청계산 매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서초구·강남구(아래)와 한강 이북 아파트 단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일례로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초센트럴아이파트’ 전용 80㎡는 지난 2일 18억7000만원에 거래되며 지난달 28일 최고가(20억원) 대비 1억3000만원이 하락했다.
용산구 이촌동 ‘강촌’ 전용 84㎡도 지난 4일 23억500만원에 손바뀜했다. 동일 면적이 지난 6월 27억원에 최고가를 쓴 것과 비교하면 불과 2주 사이 4억 가까이 빠진 것이다.
수도권에서도 경기(0.02%→0.01%)와 인천(-0.02%→-0.03%) 등 약세가 이어졌다.
경기 지역의 경우 평택시(-0.17%)는 입주 물량 영향이 있는 비전·소사동 위주로, 시흥시(-0.10%)는 정왕·장곡동 위주로 하락했지만 과천시(0.29%)는 원문·별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분당구(0.25%)는 백현·판교동 위주로 오르며 지역별로 편차를 보였다.
이 기간 지방에서는 대구(-0.05%→-0.04%), 대전(-0.07%→-0.06%) 등으로 5대 광역시가 0.04% 줄었다.
전국 전세가는 0.01%로 전주(0.01%) 대비 상승폭이 유지됐다. 이 기간 서울 전세가 또한 0.06%로 전주(0.06%) 전주와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
부동산원 측은 “지역·단지별로 상승·하락 혼조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역세권·대단지 등 정주 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을 보이며 서울 전체 상승폭이 유지됐다”고 분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