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사회로 전환이 속도를 내면서 전국 수소전기차 등록대수가 올해 5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보급대수는 3월 말 기준 3만9천216대로 집계됐습니다.
승용 수소전기차 '넥쏘' 등 승용 모델이 3만7천대, 버스와 트럭 등 상용차가 2천대 수준으로, 전체 4만대 보급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올해 승용 수소전기차 신모델 출시와 1만3천대 분량의 정부 구매보조금 확정 등을 고려하면, 연내 5만 대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국내 수소전기차 보급은 2018년
현대차가 승용 수소전기차 '넥쏘'를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2018년 말 누적 보급대수는 934대였으나, 2020년에 1만대를 넘긴 뒤 빠르게 증가해 2021년 1만9천564대, 2022년 2만9천897대, 2023년 3만4천654대, 2024년 3만8천489대를 기록했습니다.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도심 충전 인프라 확충과 수소공급망 안정화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충전사업자들은 도심 부지 확보와 운영비 부담으로 경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도심 부지 제공, 인허가 간소화, 세제 혜택 등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전국 수소충전소는 218개소에 이르지만, 서울에 설치된 충전소는 9곳에 불과해 이용자 불편이 여전합니다.
전문가들은 관공서, 공공기관 등에 우선 설치를 확대하는 등 정책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수소공급망 관리 체계 구축도 시급한 과제입니다.
수소전기차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소 생산부터 수송, 유통까지 공급망 안정화가 필수적이지만, 국내는 이를 총괄하는 전담 기관이 없습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석유관리원,
한국가스공사 등이 역할을 나눠 맡고 있으나, 외부 충격 발생 시 공급 불안과 가격 변동성이 커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반면 일본은 경제산업성 산하 자원에너지청이 수소정책을 총괄하고 있으며, 민관 협력체 'JHyM'을 통해 수소충전소 구축과 운영을 통합 관리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에너지부(DOE)가 수소 정책 수립과 연구개발, 민관협력을 주도하고 있으며, 지난해 '국가 청정수소 전략 및 로드맵'을 발표해 수소 경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에서도 수소를 전기, 도시가스처럼 국가 차원에서 통합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산업계 관계자는 "수소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수소 밸류체인 전과정에 걸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수소의 공급 및 가격 관리 주체를 일원화하고, 수소전기차 수요 확대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전담 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