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부산 등 5대광역시에도 판교형 테크노밸리...지방 성장 거점 계획 보니
기사입력 2025-04-22 10:31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
지방 대도시 도심 고밀 복합개발

판교 테크노밸리 전경. [매경DB]
국토교통부가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을 세워 10년 단위의 발전 전략을 제시한다.
22일 국토부는 세종 국토연구원에서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연다고 밝혔다. 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대도시 도심에 산업, 주거, 문화 등 복합혁신공간을 조성하는 게 골자다. 각 부처의 기업 지원 사업을 집중시켜 투자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모색하는 사업이다.
도심융합특구로 선정되면 용적률이나 높이 등 도시·건축 규제가 완화돼 고밀 복합 개발이 가능해진다. 특구 안에 기업이 밀집된 지역은 ‘기회발전특구’로도 지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세제 지원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앞서 정부는 작년 11월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5개 광역시 도심에 도심융합특구를 지정하고 기본계획도 승인했다. 올해 2월엔 지방시대위원회, 교육부, 산업부, 과기정통부 등 7개 부처를 중심으로 지방성장거점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최초로 수립되는 종합발전계획에는 범부처 지원방안, 선도기업 유치전략, 산업 네트워크 연결 방안 등이 다각적으로 담긴다. 세제 감면과 주거 지원 등 기업 종사자 지원 방안도 포함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특구 목적에 부합하도록 실시계획 수립 기준을 마련한다.
김지연 국토부 국토정책관은 “연말 수립을 목표로 추진 중인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을 통해 향후 10년간 중장기 발전전략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도심융합특구가 경쟁력 있는 지방 시대를 열기 위한 성장거점으로 조성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