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산업현장에서 근로자가 사고로 숨지는 경우 경영자를 직접 처벌하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올해 초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특히 사망사고가 잦은 건설사들이 중대재해법 시행에 긴장하고 있는데요.
법 시행 타겟 1순위로 꼽히는 건설사는 바로 대우건설입니다.
해마다 시공능력순위는 추락하는 와중에 10년 간 사망자수는 '부동의 1위'라는 오명을 언제 씻어낼 수 있을까요?
이명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해 10월, 부천 복선전철 공사 현장에서 계단 철거 작업을 하던 하청업체 소속 일용직 근로자가 20m 아래로 추락사했습니다.

약 1년 전 이 곳에서는 또 다른 일용직 근로자가 굴착기에 깔려 숨졌습니다.

같은 현장에서 반복된 사망사고를 낸 문제의 시공사는 '대우건설' 이었습니다.

지난해 10대 건설사 공사 현장에서 사망한 근로자들은 모두 20명.

이 가운데 무려 20%가 대우건설 근로자들이었습니다.

대우건설은 작년 뿐 아니라 2019년에도 업계 최다 사망사고를기록하며 '최악의 살인기업'에 뽑혔습니다.

더욱이 사망한 7명 전원이 하청근로자로 밝혀지며 '위험의 외주화'를 방관했다는 비판까지 일었습니다.

그렇다면 대우건설의 공사 현장에서는 왜 해마다 안타까운 사고가 반복될까.

노동계와 업계는 경영진의 해이한 안전의식에서 문제가 비롯된다고 지적합니다.

▶ 인터뷰(☎) : 이현정 /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국장
- "건설 사고는 추락사가 많잖아요. 추락같은 경우는 굉장히 간단한 안전 조치만 해도 충분히 막을 수 있는 건데 대우건설의 경영 책임자나 대표가 노동자들이 사망했어도 큰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이 만연했다고 보여지고요. 경각심이 전혀 없는거죠."

실제로 대우건설 경영진의 안전불감증은 수 차례나 실시된 정부의 현장 감독과 시정명령을 받으면서도 바뀌지 않았습니다.

김형 대우건설 사장은 취임 기간 3년 내내 신년사에서 '무재해 원년'을 만들자며 앵무새처럼 반복했지만, 현실은 '업계 사망사고 1위'라는 불명예였습니다.

이렇다보니 최근 국회 문턱을 넘은 산업재해법의 타겟 1순위가 김형 사장이 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옵니다.

▶ 인터뷰(☎) : 송옥주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 "건설현장의 많은 중대 재해에 대해 처벌이 솜방망이에 불과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처벌이 약하다 보니까 사망사고가 근절되지 않는 상황이 재현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안전을 경시하는 경영진들의 책임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10년 동안 무려 55명의 현장 근로자가 숨지며 '건설업계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대우건설.

시공능력평가 순위는 해마다 추락하는 가운데 산업재해만 '부동의 1위'라는 오명을 올해 씻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이명진입니다.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