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의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가 크게 줄면서, 대출 문턱도 그만큼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2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지난 11일 금융당국으로부터 자료요구·제출시스템(CPC)을 통해 하반기 새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요청받고 최근 새 목표치를 제시했습니다.
대부분 은행은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당시 당국이 언급한 지침에 따라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증가 목표액을 올해 초 설정했던 규모의 약 절반으로 줄였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초 목표로 잡은 연간 증가액의 반 정도가 하반기에 배정됐고, 이 목표액의 50%만 제출했으니 올해 하반기 증가 목표는 기존 연 증가액의 4분의 1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6·27 대책 발표 전 5대 은행은 올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액(정책대출 제외)을 약 14조5천억원, 하반기 7조2천억원 정도로 잡았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제출된 관리 목표는 약 3조6천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은행 스스로 제출한 목표만으로도 3조6천억원 정도 가계대출 여력이 줄어드는 셈입니다.
아직 당국과의 조율이 끝나지 않아 은행별로 구체적 목표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상반기 가계대출 실적에 따라 축소율이 차등 적용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당국과 은행권이 깐깐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유지하면, 실수요자라도 은행에서 대출받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진행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에서도 18개 국내 은행의 3분기 가계 주택대출과 일반대출 태도 지수는 각 -31, -22로 2분기(-11·-11)와 비교해 뚜렷하게 '태도 강화' 전망이 늘었습니다.
은행이 대출에 더 깐깐해질 것으로 예상한 은행권 여신 총괄 책임자가 크게 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은 관계자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3단계 규제가 7월부터 도입되는 데다가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이 추가 시행되면서 가계 주택 관련 대출, 신용대출 모두 태도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은행의 엄격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로 금융소비자의 불편이 커질지는 결국 집값과 주택거래가 얼마나 안정을 찾느냐에 달렸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총량 목표가 급감하면 하반기 가계대출,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필요한 고객이 충분히 대출받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주택매매가 크게 줄어들면 가계대출 수요 자체가 새 총량 목표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까지 축소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김우연 기자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