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임금상승률 G5의 2.6배…"노동비용 증가가 물가상승 압박 한 요인"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노동자의 평균 임금 상승률이 주요 5개국(G5) 대비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노동비용이 크게 증가했다는 의미로, 물가상승을 압박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오늘 우리나라와 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 등 G5(주요 5개국)의 노동비용 증가 추이를 비교한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임금 근로자의 1인당 연간 평균 급여는 2000년 2만9천238달러에서 2020년 4만1천960달러로 43.5% 증가했습니다.

1인당 연간 평균 급여는 구매력평가(PPP)를 토대로 산출됐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G5의 1인당 연간 평균 급여는 4만3천661달러에서 5만876달러로 16.5% 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임금 상승률이 G5 평균의 2.6배에 달하는 것입니다.

또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인구가 3천만명 이상인 회원국 11국 중 2번째로 임금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노동비용이 가파르게 늘고 있지만, 노동생산성 증가 속도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경연이 국내 노동 관련 지수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4년부터 2019년까지 15년간 통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의 1인당 노동비용은 88.2% 증가했지만 노동생산성은 73.6% 느는 데 그쳤습니다.

여기에 더해 최근 5년(2016∼2021년)간 한국의 최저임금이 44.6% 상승하면서 G5 평균(11.1%)의 4배를 웃도는 등 노동비용이 갈수록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한경연은 진단했습니다.

이러한 노동비용 증가는 기업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한경연은 전했습니다.

한경연이 2011∼2021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급여 자료가 모두 있는 국내 상장사 1천369개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인건비 증가율은 54.5%로, 매출액 증가율(17.7%)의 3.1배에 달했다.

인건비가 늘어난 데는 직원이 증가한 영향도 있지만 같은 기간 직원 수가 4.7% 증가(2011년 119만6천명→2021년 125만2천명)한 것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임금 상승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경연은 분석했습니다.

김용춘 한경연 고용정책팀장은 "우리나라는 주요국과 비교해 경직적인 노동법제와 호봉급 방식의 임금체계로 수년간 기업들에 과도한 인건비 부담을 가중시켰다"면서 "성과, 생산성 등에 연동되지 않은 임금 인상은 인력 운용의 자율성을 제한하며, 최근의 물가상승 압박을 더 크게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길금희 기자/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