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연결] 3월 취업자 수 31만4천명↑…13개월 만에 증가 전환 / 동대문 청량리역·강북 미아역 인근 역세권 고밀개발 / '4차 유행 우려' 확진자 700명대…백신 계획에도 차질

【 앵커멘트 】
코로나19 사태로 1년 동안 감소세를 보여온 취업자 수가 지난달 13개월 만에 반등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또 정부의 일자리 사업과 지난해 3월의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데요.
자세한 내용 보도국 취재기자 전화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진경 기자!

【 기자 】
네, 보도국입니다.

【 앵커멘트 】
정부 재정이 투입된 사회복지서비스업과 공공행정을 위주로 취업자가 늘었죠?

【 기자 】
네,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692만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4천 명 늘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줄곧 줄어들던 취업자 수가 증가 전환한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13개월 만입니다.

여기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지난해 3월 고용충격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기획재정부는 "수출과 내수 개선으로 민간 일자리가 회복되면서 후행지표인 고용도 코로나19 위기로부터 점차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취업자 수는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 공공행정에서 크게 늘었는데요.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정부 재정 지원에 의한 일시적인 증가라고 분석했습니다.

▶ 인터뷰(☎) : 김태기 /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 "재정 지원에 의한 일자리 효과거든요. 진정한 의미에 있어서 고용이 개선됐다기보다는 임시 방편적인, 복지성 일자리들이 늘어났다고 봅니다. 재정 지원이 계속될 수는 없는 거니까, 고용 절벽이 심각해지는 상황에 도달하게 될 겁니다."

실업자는 121만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3만6천 명 늘고, 실업률도 4.3%로 0.1%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취업자와 실업자가 함께 늘고, 고용률과 실업률이 동반 상승한 것은 비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든 영향입니다.

만 15세 이상 중 일할 수 있는 능력이나 일을 할 의사가 없는 사람을 뜻하는 비경제활동인구는 5만4천 명 줄어 13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습니다.

【 앵커멘트 】
이번엔 부동산 소식 살펴보죠.
정부가 오늘 서울 도심 공공주택 복합개발 사업 2차 후보지를 발표했는데요. 내용 정리해볼까요?

【 기자 】
네, 국토교통부가 동대문구 청량리역과 강북구 미아역 역세권, 수유동 빌라촌 등 13곳을 2.4 대책에서 제시한 도심 공공주택 복합개발 사업 2차 후보지로 선정했습니다.

이로써 정부의 도심 공공주택 복합개발 사업 후보지는 모두 34곳으로 늘었습니다.

오늘 발표된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총 1만2천900호의 신축 주택이 공급될 수 있습니다.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저층주거지 등 도심 내 저밀 개발지역에 용적률 인센티브를 부여해 고밀 개발하는 게 이번 사업의 핵심인데요.

우선 동대문 청량리역 역세권은 3천200가구의 아파트 대단지로 탈바꿈합니다.

미아역과 수유역 등 강북 역세권 6곳에는 총 3천170호의 주택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이들 지역은 4호선 라인 역세권임에도 개발이 더뎌 생활여건이 낙후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국토부는 사업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 사업 대비 용적률이 평균 56% 올라가고 공급 가구도 평균 251호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 앵커멘트 】
다음으로 코로나19 관련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오늘 신규 확진자가 또 다시 700명대를 기록하면서 '4차 유행'에 대한 우려가 더 커졌죠?

【 기자 】
네, 오늘 국내에서는 731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어제보다 200명 가까이 늘면서 엿새 만에 다시 700명대로 올라선 건데요.

확진자 수만 놓고 보면 지난 1월 7일 이후 97일 만에 최다 기록입니다.

이달 들어 전국 곳곳에서 재확산 조짐이 나타나면서 '4차 유행'의 초기 단계로 접어든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 가운데 미국에서 얀센 코로나19 백신 혈전 논란에 접종 중단 권고가 내려지면서 백신 공급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마찬가지로 '혈전 부작용'이 이유였는데요.

미 보건당국의 접종 중단 권고 이후 미국 내 35개 주가 접종을 중단했고, 유럽 출시 계획도 연기됐습니다.

이에 따라 600만 회분의 얀센 백신 공급계약을 체결한 국내 접종 계획에도 차질이 우려됩니다.

30세 미만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제한된 데 이어 얀센 백신마저도 접종이 불투명해지면서, 정부의 11월 집단면역 형성 목표 달성은 더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